EBS 다큐 프라임 자본주의 4부 - 세상을 바꾼 위대한 철학들
방영일시 : 2012.10. 01
EBS 다큐 프라임 자본주의 3부 - 금융지능은 있는가
자본주의 3부 - 금융지능은 있는가 방영일시 : 2012.09.26 1부 - 돈은 빚이다2부 - 소비는 감정이다 한국의 세계 금융시장 개방은 1992년(금융자율화).이전에는 고금리 시대로 저축만이 살길이
well-jhi.tistory.com
아담스미스와 마르크스
아담스미스 : 도덕감정론과 국부론 저자
18세기 봉건주의 → 자본주의로 가던 시대, 산업혁명으로 생산량이 증가
→ 늘어난 생산품을 팔 수 있는 더 넓은 시장이 필요 → 자유무역 활발
이 시기에는 중상주의가 지배적
중상주의 : 국가의 부를 금, 은의 축적으로 봄
아담스미스는 중상주의로 보지 않고 케네의 영향을 받아 국부에 대해 국부를 증진시키기 위해 연구함.
=> 국부론을 집필
국부론 탄생(1776년 3월) : 국부를 증진 시킬 수 있는 방법. 생산적인 노동이 있으면 부가 이루어질 수 있음.
시장경제는 사고, 파는 사람 모두에게 만족스러운 결과를 낳으며 사회의 자원을 적절히 배분할 수 있음
국부 : 모든 국민이 연간 소비하는 생활필수품과 편의품의 양
-중상주의 정면 반박
-모든 가치는 노동에 의해 생기므로 상품의 가치는 생산에 들어가는 노동량이 좌우돼야 함
-'보이지 않는 손'이 가격을 결정하고 이에 의해 시장경제가 잘 돌아감
(=> 자유로운 시장만이 개인과 국가를 부자로 만듦)
이는 완전한 자유시장 체제를 설명함.
- 그 외 많은 경제 개념을 설명 (분업과 국민 총생산, 무역과 개방의 중요성 등)
-개인의 경제적 이기심은 사회의 도덕적 한계 내에서만 허용
(인간의 끝없는 이기심을 허용한 적은 없음)
-인간의 도덕적 범위 내에서 자유로운 시장 추구
자유로운 시장경제 체제는
19세기를 거쳐 점차 자본주의 모습을 갖춤
추가 TMI)
케네 : 사회를 하나의 육체로 보고 사회가 건강에 필요한 조건을 연구
인간이 노동을 해서 식량과 원료를 얻고 상품을 유통해야 사회가 성장한다고 봄
사회는 3계급 (3계급이 돌면서 사회가 돌아간다고 봄)
토지만이 부를 축적하는 중동주의 주장
마르크스 : 자본론 저자
마르크스 : "왜 가난한 사람은 항상 가난한가?"라고 새로운 의문을 던짐.
유물론적 변증법 철학을 지님
이는 헤겔의 변증법과 포이에르바하 유물론의 영향을 받음
헤겔의 변증법 : 세상의 모든 것은 고정 불변이 아니라 정. 반. 합의 법칙으로 변화 발전한다는 철학
포이에르바하 유물론 : 물질이 세계를 구성하고 지배함
1843년 급진적 신문사의 편집장이었으나,
검열당한 신문들로 인해서 신문사는 폐간되었고 파리로 떠남.
1844년 파리에서 공산주의와 엥겔스를 만남.
·엥겔스 : 공산주의 후원자. 마르크스가 계속 글을 쓸 수 있도록 지원함.
마르크스는 파리에서 비참한 노동자들의 삶을 보았고,
공산주의 조직과 만나면서 노동운동에 관심을 갖게 됨-> 혁명적인 공산주의자가 돼감.
둘은 계급 없는 세상을 만들자며 혁명을 준비
1845년 2월 브뤼셀에서도 혁명을 원함.
1848년 '공산당 선언'을 발표
노동자들의 현실을 보고 그 개선 방향을 찾고 자본주의 체제 안에서 변화 가능한 것들을 연구
하지만 잇따른 추방이 있었고,
1849년 영국에서는 생활고에 계속 시달림.
급기야 아들은 1855년 폐렴으로 사망.
가족 간의 생계와 불황이 계속됨.
후에 엥겔스 등의 후원으로 자금이 안정되고 자본론을 집필하기 시작
1867년 자본론 출간(17년 집필)
-국부론을 많이 인용
-상품은 사용 가치와 교환가치로 이뤄지며, 이러한 것은 노동을 통해 생산해 낸 것임
사용가치 : 쓸모 있는지
교환가치 : 교환할 수 있는지
-상품가치= 상품 생산에 들어간 평균 노동시간으로 정의
-화폐= 상품의 가치를 표시하는 수단
-화폐의 물신성 경고 ( 화폐의 물신성 : 돈이면 무엇이든 된다)
아담스미스의 노동의 가치를 이어받았지만, 분업은 노동자를 기계로 만드는 것으로 반박함.
집필의 주 목적은
왜 일하는 노동자는 끊임없이 일하고 자본가는 점점 더 부자가 되는가
이의 의문은 이윤은 어디서 오는지 의문을 가졌고,
=> 절대적 잉여가치로부터 온다고 봄
**기계나 원료는 제공되어야 할 그 가치를 주지만 노동자들에게 그 가치를 제대로 주지 않음**
인정받은 노동 가치
|
받지 못한 잉여가치
|
|
노동자의 제공 되어야 할 전체 노동가치
|
절대적 잉여가치 : 노동시간의 연장으로 생긴 잉여가치
=> 노동자를 착취함으로써 부를 얻음.
상대적 잉여가치 : 필요 노동시간이 줄어들어 잉여 노동시간이 늘어나 생기는 잉여가치
자본가들의 욕심으로 기계가 노동을 대신하면 실업 증가 → 일하려는 사람이 많아져 임금 낮아짐 → 상품이 쏟아져 나오지만 시장 붕괴 => 공황 시장, 노동자들 혁명
자본주의가 무너지고 사회주의를 예견
1883년 3월 14일 삶을 마감.
그 이후 엥겔스는 마르크스 유고를 모아 1885년 자본론 2권, 1894년 자본론 3권 발행